맨위로가기

게오르기 말렌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기 말렌코프는 1902년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소련의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1920년 공산당에 입당하여 스탈린의 측근으로 성장, 당 중앙위원회 조직국에서 근무하며 스탈린의 개인 비서가 되었고, 대숙청에 깊이 관여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가 국방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군용 항공기 생산과 핵무기 개발을 감독했다. 스탈린 사후, 각료회의 의장(수상)에 취임했으나 흐루쇼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실각했다. 이후 반당 그룹에 가담했다가 실패하여 모든 공직에서 추방되었으며, 말년에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여 1988년 사망했다.

2. 생애와 경력

게오르기 말렌코프는 러시아 제국 시기 오렌부르크에서 태어나 러시아 혁명 이후 붉은 군대에 자원 입대하고 1920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이오시프 스탈린의 눈에 띄어 당 중앙위원회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당원 기록 관리 업무를 통해 스탈린의 신임을 얻었다. 이후 라브렌티 베리야와 함께 대숙청에 깊이 관여했으며, 당 간부 관리 책임자로서 권력 기반을 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련 국가방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군용 항공기 생산과 핵무기 개발을 감독하는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9][11]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자, 말렌코프는 소련 각료회의 의장(수상)에 취임하며 잠시 소련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19][20] 그는 스탈린 시대의 개인 숭배를 비판하고 집단 지도체제로의 전환을 주장했으며, 권력 분산을 위해 스스로 당 서기직에서 물러나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 공산당 제1서기가 되는 길을 열었다.[21] 수상으로서 그는 서방 국가와의 평화 공존을 모색하고, 중공업 대신 소비재 생산을 중시하는 경제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 생활 향상을 도모하고자 했다.[22][35]

그러나 그의 온건 노선과 경제 정책은 흐루쇼프를 비롯한 당내 강경파의 반대에 부딪혔고, 권력 투쟁에서 점차 밀려나게 되었다. 특히 1957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라자리 카가노비치 등과 함께 흐루쇼프를 실각시키려다 실패한 이른바 '반당집단' 사건으로 인해 모든 정치적 지위를 박탈당했다. 이후 카자흐스탄의 지방 발전소 관리자로 좌천되었고, 1961년에는 공산당에서도 제명되었다.[34] 정치적으로 완전히 몰락한 그는 은퇴 후 모스크바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가 1988년 사망하여 쿤체보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02년 1월 8일 러시아 제국 오렌부르크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계 조상들은 18세기 오스만 제국 루멜리아 에야레트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지역)의 오흐리드에서 이주해 온 마케도니아인 이민자였다.[4][5] 조상 중 일부는 러시아 제국군 장교로 복무했다. 그의 아버지는 오렌부르크 지방의 부유한 농부였고, 어린 말렌코프는 때때로 아버지의 농작물 판매를 도왔다. 어머니는 대장장이의 딸이자 러시아 정교회 사제의 손녀였다.[6]

말렌코프는 1917년 러시아 혁명 직전 오렌부르크 김나지움을 졸업했다.[6] 1918년 붉은 군대(적군)에 자원 입대하여[6]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에 맞서 싸웠고, 1919년에는 정치 위원이 되었다. 1920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6] 내전 기간 동안 투르케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선전 열차의 정치 위원으로 활동했다.[6] 이후 군을 기반으로 하는 모스크바 고등 기술 학교의 공산당 서기를 역임했으며, 1925년 9월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Н. Э. Баумана|모스크바 고등 기술 학교ru(N.E. 바우만 기념 모스크바 국립 기술 대학교)를 졸업했다. 이 시기를 거치며 스탈린의 측근 중 한 명이 되었다.

2. 2. 스탈린의 측근

1939년의 말렌코프


1924년 스탈린의 눈에 띄어 당 중앙위원회로 발탁되었고,[11] 1925년 중앙위원회 조직국(Orgburo)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9] 그는 공산당 당원 기록 관리 책임을 맡아 향후 10년간 200만 건의 파일을 만들었으며,[11] 이 업무를 통해 스탈린과 가까워졌고 베리야와 함께 대숙청에 깊이 관여했다.[9][11]

1938년 NKVD 국장 예조프의 몰락에 관여했으며,[11] 1939년에는 당 간부부(당 간부 요원 관리국장)의 책임자가 되어 당 관료 인사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했다. 같은 해 중앙위원회 서기 겸 조직국 정식 위원이 되었다.[9] 1941년 2월 정치국 후보위원이 되었다.[9]

1941년 6월 독일의 침공 이후 국가방위위원회(SDC) 위원으로 임명되어 베리야, 몰로토프, 보로실로프와 함께 스탈린을 위원장으로 하는 전시 최고 지도부의 일원이 되었다.[9] 전쟁 기간(1941-1943년) 동안 그의 주요 임무는 군용 항공기 생산과 핵무기 개발 감독이었으며,[9] 스탈린의 지시로 베리야와 함께 핵미사일 개발을 감독하고 미사일 프로그램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943년부터는 레닌그라드를 제외한 해방 지역의 전후 경제 재건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9]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6년 3월, 정치국 정식 위원으로 승진하고 당 제2서기가 되었으나,[14] 항공기 결함 문제로 정적인 즈다노프와 베리야에 의해 잠시 직위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1948년 즈다노프가 사망하면서[15] 스탈린의 측근으로 복귀하여 다시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고, 베리야와 함께 즈다노프파 숙청을 위한 레닌그라드 사건을 조작했다.

2. 3. 스탈린 사후 권력 투쟁

1953년 3월 5일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하자, 다음 날인 3월 6일 말렌코프는 라브렌티 베리야의 추대로 당시 최고 권력 직위로 여겨지던 소련 각료회의 의장(수상)에 취임했다.[32] 또한 그의 이름은 정치국의 후신인 중앙위원회 간부회 명단 첫머리에 올라, 말렌코프가 스탈린의 뒤를 이어 당의 지도자가 되었음을 시사했다.[19][20] 이로써 그는 소련의 최고 지도자 자리에 올랐으며, 당시 타임지 표지를 장식할 정도로 유력한 후계자로 간주되었다.[18]

1953년 3월 23일자 ''타임'' 잡지 표지의 말렌코프


그러나 최고 지도자가 된 말렌코프는 "인격 숭배 정책을 끝내고 집단 지도 체제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권력 분산을 모색했다. 취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그는 당 서기국에서 사임하고, 실질적인 당 운영 주도권을 니키타 흐루쇼프에게 넘겨주었다. 흐루쇼프는 같은 해 9월 공식적으로 소련 공산당 제1서기에 임명되었다.[21] 또한 헌법상 국가원수인 최고회의 간부회 의장에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가 취임했다. 이로써 말렌코프(수상), 흐루쇼프(당 제1서기), 보로실로프(국가원수)가 권력을 분점하는 이른바 '트로이카 체제'가 형성되었으나, 말렌코프는 여전히 체제 내 최고 실권자로 여겨졌다.

권력 재편 과정에서 제1부수상 겸 내무장관이 된 라브렌티 베리야는 스탈린 격하 운동을 시도했으나, 말렌코프와 흐루쇼프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체포 후 처형되었다.

수상으로 재임한 2년 동안 말렌코프는 비교적 온건한 정책 노선을 추구했다. 그는 핵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현대 무기를 사용한 새로운 세계 대전은 세계 문명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선언했고,[22] 서방 국가와의 긴장 완화를 위한 평화 공존 정책, 이른바 "평화 공세"를 추진했다.[35] 경제 분야에서는 중공업 우선주의에서 벗어나 소비재 생산 등 경공업을 중시하여 국민 생활 수준 향상을 도모하고, 농민 세금 감면, 곡물 가격 인상, 개인 경작 장려 등 농업 생산력 증대를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말렌코프의 정책들은 크렘린 내부의 권력 투쟁 속에서 순탄하게 진행되지 못했다. 그의 평화 공존 노선은 흐루쇼프와 몰로토프 등 강경파(보수파)로부터 거센 반발을 샀고, 이는 결국 그가 수상직에서 물러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특히 1953년 8월, 말렌코프 자신이 소련의 수소폭탄 보유를 발표하고 곧이어 실험에 성공한 사건은[33] 그의 평화 노선에 대한 모순적 행보로 비춰지며 입지를 더욱 약화시켰다. 경제 정책 역시 재원 부족 문제와 함께, 경공업 중시 노선이 당내에서 "우익적 일탈"이라는 비판에 직면하며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1955년 서독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와 대화하는 소련 지도부의 말렌코프


결국 정책 추진의 어려움과 당내 강경파의 견제로 영향력이 약화된 말렌코프는 1955년 2월 수상직에서 사임했다. 그는 정치국 위원 자리는 유지했지만, 1957년 6월 니콜라이 불가닌,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라자리 카가노비치 등과 함께 이른바 반당집단을 결성하여 흐루쇼프를 실각시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말렌코프는 '반당 그룹'으로 지목되어 정치국에서도 해임되면서 권력의 중심에서 완전히 밀려나게 되었다.

2. 4. 실각과 말년

1955년 2월, 니키타 흐루쇼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난 말렌코프는 수상직에서 사임해야 했다. 공식적인 사임 이유는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중공업보다 소비재 생산을 우선시했다는 점), 권력 남용, 그리고 이미 처형된 라브렌티 베리야와의 과거 관계 등이었다.[35] 또한 그의 "평화 공세"로 불린 서방과의 긴장 완화 시도 역시 보수파의 반발을 샀다. 말렌코프는 후임 수상 니콜라이 불가닌 아래에서 부수상 겸 발전소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이는 사실상의 좌천이었다. 그의 경제 계획은 폐기되고 소련은 다시 중공업 우선 정책으로 돌아섰다.

수상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2년간 정치국 위원직은 유지했지만, 1957년 6월 니콜라이 불가닌,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라자리 카가노비치 등과 함께 흐루쇼프를 몰아내기 위한 이른바 '반당집단' 사건을 주도했다. 그러나 소련군의 지지를 등에 업은 흐루쇼프와 게오르기 주코프의 반격으로 쿠데타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이 사건으로 말렌코프는 '반당 그룹'으로 낙인찍혀 정치국 위원을 포함한 모든 공직에서 해임 및 추방되었고, 그가 구상했던 집단 지도 체제는 완전히 붕괴되었다.

모든 공직에서 쫓겨난 말렌코프는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사실상 추방되어 외스케멘(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에 있는 수력 발전소 관리자로 보내졌고, 이후 에키바스투즈의 발전소 소장을 지냈다.[34] 결국 1961년 11월에는 공산당에서도 제명되어 당적을 완전히 박탈당했다.

1968년 5월 공식적으로 은퇴한 후, 그는 모스크바 시내의 아파트에서 연금 생활자로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권력 상실과 어려워진 생활 형편으로 초기에는 우울증에 시달렸으나, 시간이 지나면서는 자신의 실각을 오히려 치열했던 크렘린 권력 투쟁에서의 해방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말년에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여 독실한 신자가 되었으며, 교회 합창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같은 '반당 그룹' 사건으로 실각했던 라자리 카가노비치가 그의 아파트 이웃이었다.

1984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의 당적이 회복되자, 말렌코프 역시 당시 서기장이던 콘스탄틴 체르넨코에게 자신의 복권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소련페레스트로이카가 한창이던 1988년 1월 14일,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흐루쇼프, 브레즈네프,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등 자신을 축출했거나 이후 소련을 이끈 지도자들보다 오래 살았다. 실각한 지도자였기에 소련의 최고 지도자들이 묻히는 붉은 광장의 묘지가 아닌, 모스크바의 쿤체보 묘지에 안장되었다. 이는 니키타 흐루쇼프와 같은 사례였다.

1954년의 말렌코프

3. 평가

1952년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 표지에는 스탈린에게 안겨 있는 말렌코프의 모습이 실리기도 했다. 이는 그가 스탈린의 후계자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1954년, 전 영국 총리 클레멘트 애틀리와 전 보건부 장관 아네우린 베반 등이 포함된 영국 노동당 대표단이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 당시 영국 주소련 대사였던 윌리엄 굿이너프 헤이터 경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니키타 흐루쇼프와의 면담을 주선했다.[27] 이 자리에는 흐루쇼프뿐만 아니라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안드레이 비신스키,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그리고 말렌코프도 함께 참석했다.[28]

이 면담은 영국 정계에서도 큰 관심을 끌어, 윈스턴 처칠 총리는 헤이터 대사를 직접 불러 면담 내용을 상세히 보고받았다.[28] 헤이터 대사가 보기에 말렌코프는 "가장 지적이고,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는 인물"이었으며, "자신이 하고 싶은 말만 하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매우 쾌활한 옆 사람" 같았고, "듣기 좋은 음악적인 목소리"와 "교양 있는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인물로 평가되었다. 심지어 말렌코프는 영국 외교 통역관 세실 패럿에게 당시 소련에서 퇴폐적으로 여겨져 비판받던 작가 레오니트 안드레예프의 소설을 읽어보라고 조용히 권하기도 했다. 이는 그의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일화이다.

반면, 니키타 흐루쇼프는 헤이터 대사에게 "활기차지만 성급하고 수다스러우며, 외교 문제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무지한" 인물로 비춰졌다.[29] 헤이터는 흐루쇼프가 영국 노동당의 아네우린 베반의 생각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았고, 말렌코프가 "간단한 단어로" 그에게 설명해주어야 했다고 기록했다.[29] 이러한 평가는 말렌코프가 흐루쇼프에 비해 외교적으로 더 세련되고 지적인 면모를 갖추었음을 시사한다.

4. 가족 관계

1920년 투르케스탄에서 소련 과학자 발레리야 골루브초바(1901년 5월 15일 ~ 1987년 10월 1일)와 동거를 시작했다. 골루브초바는 러시아 제국 니즈니노브고로드의 전직 국가 의원이자 제국 사관학교 학장이었던 알렉세이 골루브초프의 딸이었다. 두 사람은 공식적으로 결혼하지 않았으며, 평생 정식으로 등록되지 않은 사실혼 관계를 유지했다. 골루브초바는 어머니를 통해 블라디미르 레닌과 간접적인 관계가 있었는데, 그녀의 어머니는 혁명 이전에 레닌의 제자였던 "네브조로프 자매" 중 한 명이었다. 이러한 관계는 골루브초바와 말렌코프의 공산주의 경력에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골루브초바는 이후 소련의 원자력 연구 중심지였던 모스크바 에너지 공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말렌코프와 골루브초바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있었다.

5. 기타

실각 후 소련 국내를 전전하며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에 있는 수력 발전소 지도자를 지냈고, 같은 카자흐스탄의 탄광 도시 에키바스투즈[34]에 있는 에키바스투즈 제1 발전소 소장을 역임했다. 그러나 1961년 11월, 에키바스투즈 시 당 위원회에 의해 당적을 박탈당하고 공산당에서 추방되었다. 1968년 5월에 은퇴하여 연금 생활에 들어갔다.

공산당에서 추방되고 권력을 잃은 후 가난한 생활 때문에 우울증에 시달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후에는 자신의 실각을 "크렘린의 가혹한 권력 투쟁으로부터의 해방"이라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고 한다. 모스크바 시내의 아파트에서 연금을 받으며 여생을 보냈고, 만년에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다. 80세가 넘어서부터는 모스크바의 옐로호보 대성당 교회 합창단원으로 활동했다. 말렌코프가 만년을 보낸 아파트의 이웃은 같은 반당 그룹으로 실각하여 연금 생활을 하던 라자르 카가노비치였다.

참조

[1] 뉴스 Georgi Malenkov Dies at 86; Stalin Successor (Published 1988) https://www.nytimes.[...] 2023-08-19
[2] 서적 The Cold War, 1945–1991: Leaders and other important figures in the Soviet Union, Eastern Europe, China, and the Third World https://archive.org/[...] Gale Research 1992-03-06
[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HarperCollins Publishers
[4] 서적 Самые секретные родственники https://books.google[...]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5] 서적 Russia's Cold War: From the October Revolution to the Fall of the Wall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1
[6] 서적 Inside the Kremlin's cold war: from Stalin to Khrushchev Harvard University Press
[7] 문서 Stalin's Secretary Memoirs Paris 1980
[8] 웹사이트 Malenkov's biography from "Secret pages of history". http://lib.ru/HISTOR[...] 1995
[9] 서적 Leaders of Russia and the Soviet Union: from the Romanov dynasty to Vladimir Puti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Khrushchev: the Road to Power https://books.google[...] Secker & Warburg 1960
[11] 서적 Stalin: Triumph and Tragedy https://books.google[...] Grove Weidenfeld
[12] 서적 Beria: Stalin's First Lieutena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A More Perfect Union 2014
[14] 간행물 The War Within: Factional Strife and Politics of Control in the Soviet Party State (1944–1948) 2015
[15] 간행물 The War Within: Factional Strife and Politics of Control in the Soviet Party State (1944–1948) 2015
[16] 웹사이트 World Wars: Stalin and the Betrayal of Leningrad https://www.bbc.co.u[...]
[17] 뉴스 65 Years Ago, The USSR Murdered Its Greatest Jewish Poets. What's Left Of Their Legacy? http://forward.com/c[...] 2017-08-12
[18] 뉴스 Time 1952, 1953 cover and editorials https://www.google.c[...]
[19] 뉴스 Vast Riddle; Demoted in the latest Soviet shack-up http://select.nytime[...] 2013-10-07
[20] 웹사이트 Soviet Union – History, Leaders, Map,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8-06
[21] 웹사이트 Soviet Union – History, Leaders, Map,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8-06
[22] 뉴스 'Rech'' tovarishcha G.M. Malenkova' [Comrade G.M. Malenkov's speech] http://www.isodarco.[...] in David Holloway, "Nuclear Weapons and the Escalation of the Cold War, 1945–1962", Stanford University, 11. 2020-04-19
[23] 웹사이트 Soviet Documents on the Hungarian Revolution, 24 October – 4 November 1956 https://www.scribd.c[...] Woodrow Wilson Center for International Scholars, Washington, DC 1995
[24] 웹사이트 Russia: The Quick & the Dead https://web.archive.[...] 2011-04-22
[25] 문서 Stalin. The Glasnost Revolution 1990
[26] 서적 Stalin: Court of the Red Tsar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7] 웹사이트 OBITUARIES Sir William Hayter https://www.independ[...] 2023-09-26
[28] 뉴스 Obituaries: Sir William Hayter https://www.independ[...] 1995-03-30
[29] 서적 Khrushchev: The Man and His Era Simon & Schuster LTD
[30] 웹사이트 The Death of Stalin http://www.tiff.net/[...]
[31] 웹사이트 http://www.encyclope[...]
[32] 웹사이트 https://jp.rbth.com/[...]
[33]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34] 문서 ここの政治犯特別収容所には、1950年から1953年まで[[アレクサンドル・ソルジェニーツィン]]が収容されていた。
[35] 서적 냉전의 역사, 1945~1991 비봉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